diskpart 사용법과 명령어 - 디스크 관리와 문제 해결 가이드
- IT & 전자기기/정보와 소식
- 2025. 2. 10.
디스크 관리 도구는 컴퓨터 성능 최적화와 데이터 보호에 있어 필수적입니다.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diskpart는 명령어 기반으로 디스크와 파티션을 세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부팅 문제 해결부터 파티션 확장까지 폭넓게 활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diskpart의 기본 개념과 명령어 활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diskpart란 무엇인가요?
diskpart는 Windows에 내장된 명령어 기반의 디스크 관리 도구입니다.
디스크, 파티션, 가상 디스크(VHD)를 세부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IT 전문가뿐 아니라 일반 사용자에게도 유용합니다.
diskpart의 주요 기능
- 물리 디스크 관리
- 파티션
- 가상 디스크(VHD) 관리 파티션 생성, 삭제, 포맷
- 디스크 용량 확장 및 병합
- 시스템 부팅 문제 해결
활용 사례
- 운영 체제 부팅 오류
- 복구 디스크 공간 확장 및 파티션 재구성
- 가상 디스크 관리 및 테스트 환경 구성
2. diskpart 실행 방법
diskpart를 실행하는 방법은 간단하지만 관리자 권한이 필요합니다.
실행 방법
Windows 키 + R을 눌러 실행 창을 엽니다.
cmd를 입력하고 Ctrl + Shift + Enter를 눌러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명령어 창에 diskpart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릅니다.
Tip
Windows 10/11에서는 시작 메뉴에서 diskpart를 검색하여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3. diskpart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3-1. list disk
디스크 상태 확인 현재 연결된 모든 디스크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명령어
list disk
결과 예시
- Disk 0 온라인 978 GB
- Disk 1 온라인 1863 GB
디스크의 크기와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문제가 발생한 디스크를 선택하는 첫 단계로 사용됩니다.
이럴 때 사용하세요
디스크가 BIOS에서는 보이지만 Windows 탐색기에서 보이지 않을 때 디스크 상태를 점검할 수 있습니다.
3-2. select disk
특정 디스크 선택 명령어를 적용할 디스크를 선택합니다.
명령어
select disk 0
결과
0 디스크가 선택한 디스크 입니다.
주의
선택된 디스크에 명령어가 적용되므로 신중히 선택하세요.
이럴 때 사용하세요
여러 개의 디스크가 연결된 상태에서 특정 디스크에만 작업을 수행해야 할 때 사용합니다.
3-3. clean
디스크 초기화 디스크의 모든 파티션과 데이터를 삭제하고 초기화하는 명령어입니다.
clean 결과
모든 파티션이 삭제되며 디스크가 초기화됩니다.
Tip
중요한 데이터는 반드시 백업한 후 사용하세요.
이럴 때 사용하세요
파티션 구조가 꼬이거나 기존 데이터를 완전히 삭제하고 새로 설정할 때 사용합니다.
3-4. create partition
파티션 생성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명령어
create partition primary size=102400
결과
100GB의 새로운 파티션이 생성됩니다.
3-5. format
파티션 포맷 새로 생성한 파티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포맷합니다.
명령어
format fs=ntfs quick
결과
- NTFS 파일 시스템으로 빠르게 포맷됩니다.
- 명령어를 exfat 등으로 변경하면 그에 맞는 파일시스템으로 변경됩니다.
이럴 때 사용하세요
새로 파티션을 생성하거나 기존 파티션을 재설정할 때 사용합니다.
3-6. assign
드라이브 문자 할당 파티션에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합니다.
명령어
assign letter=E
결과
선택된 파티션이 E 드라이브로 인식됩니다.
이럴 때 사용하세요
Windows 탐색기에서 드라이브가 인식되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4. VHD(가상 디스크) 관리하기
가상 디스크(VHD)는 물리적 디스크처럼 작동하는 디스크 이미지 파일로, 백업 또는 테스트 환경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4-1. VHD 파일 생성하기
명령어
create vdisk file="C:\myVHD.vhd" maximum=50000
- file: VHD 파일의 저장 경로
- maximum: VHD의 최대 크기(MB 단위)
4-2. VHD 연결하기
명령어
attach vdisk file="C:\myVHD.vhd"
결과
VHD가 디스크로 인식되어 관리할 수 있습니다.
5. diskpart 명령어를 활용한 문제 해결 사례
5-1. 부팅 오류 복구: "Operating System not found" 문제
디스크의 부팅 파티션이 손상되어 운영 체제를 찾을 수 없는 경우, diskpart와 bootrec 명령어로 복구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예시
- diskpart
- select disk 0
- select partition 1
- active
- exit
- bootrec /fixmbr
- bootrec /fixboot
- bootrec /rebuildbcd
결과
정상적으로 부팅됩니다.
5-2. USB 드라이브 용량 표시 오류 해결
USB 드라이브가 잘못된 용량으로 표시될 때, 초기화하고 새로 포맷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 예시
- list disk
- select disk 1
- clean
- create partition primary format fs=ntfs quick
- assign letter=G
결과
USB가 정상적으로 전체 용량을 인식합니다.
5-3. 디스크 공간 확장: 시스템 볼륨 부족 문제 해결
C 드라이브의 공간이 부족할 때 다른 볼륨의 여유 공간을 합쳐 확장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 예
- select volume 2
- delete partition
- select volume 1
- extend
5-4. 외장 하드 디스크 인식 불가 문제 해결
외장 하드가 Windows 탐색기에서 인식되지 않는 경우, 파티션을 새로 설정하면 해결됩니다.
명령어 예
- select disk 2
- clean
- create partition primary format fs=exfat quick
- assign letter=H
6. Q&A
Q1. diskpart 명령어로 삭제된 파티션은 복구할 수 있나요?
일반적으로 clean 명령어로 삭제된 경우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을 통해 복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clean all을 실행했다면 복구가 어렵습니다.
Q2. VHD는 어떤 상황에서 유용한가요?
테스트 환경 구성, 백업 디스크 대체, 여러 운영체제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구동할 때 유용합니다.
Q3. diskpart 사용 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명령어 입력 실수로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실행 전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하세요.
7. 마치며...
diskpart는 디스크 관리에서 강력한 도구이지만, 그만큼 신중한 사용이 필요합니다.
명령어 하나로도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실행 전 정확히 이해하고 실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가이드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효율적으로 디스크를 관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관련 글
컴퓨터 포맷부터 백업까지, 포맷 전후 필수 체크 가이드
SSD 종류와 차이점 - SATA vs NVMe, 어떤 게 좋을까?
'IT & 전자기기 > 정보와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AI ‘위스크(Whisk)’ 국내 출시! AI 이미지 생성, 이제 클릭으로? (0) | 2025.02.13 |
---|---|
그래픽카드 용어 정리! 클럭, VRAM, 쿠다코어까지 이해하기 (0) | 2025.02.12 |
챗GPT 이성 기능 버튼 활용, 대화에 논리를 더하다! (1) | 2025.02.11 |
MBR과 GPT의 차이점과 변경 방법 (0) | 2025.02.08 |
구글 성인 인증 오류 해결 가이드 (0) | 2025.02.06 |
컴퓨터 포맷부터 백업까지, 포맷 전후 필수 체크 가이드 (1) | 2025.02.06 |
무료 문서 스캔 앱 추천과 활용법 (0) | 2025.02.06 |
쉽게 따라 하는 브라우저 개인정보 보호 설정은? (0) | 2025.02.06 |